정부, 물관리 스마트관리체계 구축...'그린 뉴딜'에 보폭 맞춘다

이동민 기자 발행일 2020-06-12 11:34:43 댓글 0
환경부, 올해 하반기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 본격 도입 추진

 정부가 21대 국회에서 통과될 것으로 기대되는 3차 추가경정예산에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구축'을 담아, 예정대로 처리 될 경우 올해 하반기부터 '인공지능(AI)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을 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12일 경기 화성시 소재한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 산하 화성정수장찾아 현장을 찾아 점검하고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홍 차관의 이번 현장 점검은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에 포함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의 구축과 본격적인 사업 착수를 위한 발판이다.

화성정수장은 화성시 및 평택시에 생활용수 17만 8천㎥/일을 공급하는 시설로 지난 2016년 고도정수공정 도입을 끝내고 운영 중이다.

이번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도입 대상은 정수장, 조류 발생 위험이 높은 취수원 등 48개 광역 및 공업용수도 시설이다.

'인공지능 정수 시스템'이란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정수처리용 약품 투입을 자동화하고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등이 가능한 지능형 정수장 구현기술을 말한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정수장의 자동화 및 정밀 운전으로 정수장의 최적 운전이 가능하며, 실수로 인한 사고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는 또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가 도입되면 취수에서 정수생산 및 공급까지 수질 및 누수 관리는 물론, 수도관 파손 또는 수질 오염사고 등에 대한 위기대응 체계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홍정기 차관은 "그린뉴딜의 중요한 축을 맡게 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하여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경제에 큰 활력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개요(도표=환경부 제공)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