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 "국내 원자력발전 현 수준 유지해야"...에너지 정책 방향 대부분 '찬성'

김동식 기자 발행일 2020-06-12 12:29:16 댓글 0

▲경북 울진에서 가동 중인 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 한울 1∼6호기와 신한울 1, 2호기가 가동 중이며 신한울 3, 4호기도 건설될 예정이었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현재 건설이 중단된 상태다.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국민 10명 중 4명은 국내 원자력발전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공감하며, 10명 중 6명은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이 9~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문재인 정부의 국내 원자력발전 방향에 대해 물은 결과 26%가 '확대', 24%가 '축소'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또 38%는 '현재 수준 유지',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확대(33%), 여성은 축소(27%)가 각각 10%포인트 정도 앞섰다. 연령별는 50대 이상은 확대(30%대), 30·40대는 축소(29%·27%) 쪽으로 기울었고 20대는 양쪽이 팽팽했다.

 

현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 발표 후 1년 경과 시점인 2018년 6월 조사에서는 원자력발전 확대(14%)보다 축소(32%)가 많았고, 현재 수준 유지가 40%였다. 

 

원자력발전 확대 희망자(259명, 자유응답)들은 △에너지 자원 확보 필요·전기 수요 증가 대비(18%) △원자력 기술력 유지·확보, 비용 저렴·고효율(이상 17%) △경제 성장 및 일자리·수출 확대(9%) △대체 에너지 부족·개발 어려움, 친환경적(이상 7%) △전력난·전기 부족(5%) △안전한 에너지원, 원자력 업체 어려움·산업 붕괴 위험(이상 2%) 등을 이유로 꼽았다. 

 

반면 원자력발전 축소 희망자들(244명, 자유응답)은 그 이유로 '안전성·사고 위험성'(48%)을 가장 많이 들었다. 이어 △환경 문제(23%) △대체 에너지 개발해야 함(6%) △핵폐기물·시설 폐기 어려움(5%) △미래를 위해, 지진·자연재해 우려(이상 4%) △노후 원전 폐기(3%) 등을 꼽았다. 

 

▲제공=한국갤럽

원자력과 석탄 발전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해 64%가 '찬성', 25%가 '반대'로 나타났다.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별로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에 찬성 의견이 우세하다. 원자력발전 축소 주장자의 97%, 현재 수준 유지 주장자 중에서도 71%가 에너지 정책 방향에 찬성했다.

 

문재인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 발표 직후인 2017년 6월에는 '찬성'이 84%, 1년 후인 2018년 6월 72%, 2019년 1월과 이번 2020년 6월 조사에서는 64%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 명 중 두 명이 전반적 방향에 공감을 표했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에너지원에 대한 장·단기적 바람이 혼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며 "장기적으로 저위험·저비용·고효율·친환경 에너지원을 바라면서도 단기적으로는 기존 연료를 대체할 재생 에너지원 부족, 관련 기업의 경영난과 업계의 기술·인력 유출 우려 등 당면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