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대표적인 온실가스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해 대대적인 정비에 들어간다.
일본 매체는 2일 일본 정부가 지구온난화 대책을 담은 국제 합의인 '파리협정'에 맞춰 이산화탄소(CO₂)를 많이 배출하는 구식 석탄화력발전소 100기 정도를 2030년까지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폐쇄하는 정책을 마련한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의 이번 정책에 해당되는 석탄화력발전소는 1990년대 초반 이전에 건설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구식 발전소다.
일본 전역에는 총 140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있는데 이 중에서 신형 26기를 제외한 114기 가운데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100기가량이 휴·폐지 대상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재해 발생 등 유사시의 전력공급 위한 일부 발전소는 폐쇄하지 않고 가동중단 조치만 취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따라 조만간 전문가 회의를 구성해 휴·폐지 방식과 일정을 마련하고 빠르면 내년 중에 관련 법령을 개정할 방침이다.
지난 2018년 일본의 총발전량에서 석탄화력발전은 32%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38%를 차지하는 액화천연가스(LNG) 다음으로 많은 비중이다.
일본 정부는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이같은 조치와 더불어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량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2018년 기준 17%에서 2030년까지 22~24%까지 높이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한편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를 계기로 가동이 전면 중단된 이후 안전이 확인된 원자력발전은 재가동할 예정이다.
해당 매체는 일본 에너지 정책이 이번 석탄화력발전소 휴·폐지 조치를 통해 큰 전환점을 맞게 됐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