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이 사라지면 왜 위험할까?... “생태계 균형 무너질 수도”

안상석 기자 발행일 2023-02-14 18:45:35 댓글 0


[데일리환경=이동규 기자]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노력은 현재 진행 중이다. 인간으로 인해 동물들은 멸종 위기를 맞았고, 다시 우리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멸종위기종이 사라지면 인간 역시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수많은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국립생태원 측은 ‘멸종위기종이 사라진다면 인간도 큰일난다’는 주제로 큰 깨달음을 얻게 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가 위험에 빠졌고, 동물들은 멸종위기에 놓이게 됐다. 하지만 이제라도 이를 막아야 한다. 사라질 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관심을 갖고 보호한다면 멸종을 막고, 개체수를 늘릴 수 있다는 것.

그렇다면 왜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 할까? 국립생태원 측은 도도새를 예로 들었다. 인도양 모리셔스 섬에 살던 도도새는 이미 멸종한 새다. 천적이 없던 무인도에 살던 도도새는 날개의 기능이 퇴화, 걸어 다니는 새가 됐다.

하지만 어느 날 도도새가 살던 무인도가 포르투갈 선원들에게 발견됐고, 선원들은 새를 마구잡이로 사냥했다. 이후 모리셔스 섬은 이 지역을 지나가는 배들의 쉼터 같은 곳이 됐다. 새로운 배가 들어올 때마다 도도새는 포획됐고 결국 지구상에서 영원히 사라지고 말았다.

그리고 도도새는 인간이 처음으로 멸종시킨 동물로 기록됐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끝나지 않았다. 1992년 브라질 리우 환경회의에서 도도새가 살던 모리셔스 섬의 카바리아 나무가 번식을 멈추고 멸종위기종이 됐다는 것.

학자들에 따르면 도도새가 카바리아 나무의 열매를 먹고 배설하면서 씨앗을 뿌리 내리게 했고, 도도새가 멸종된 이후로는 싹을 틔우지 못한 것이다. 이처럼 생물 한 가지에는 이와 관련된 수십 종이 공생관계를 이루고 있다. 생물들 중에는 인간에게 반드시 필요한 종도 있다.

큰 예로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타미플루 원료가 식물에서 온다. 향신료로 쓰이는 팔각회향이 그 원료로 이 식물 외에는 타미플루를 대체할 어느 종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체 종이 없다는 것. 만약 이 식물이 멸종된다면 가벼운 감기에 걸려도 입원을 해야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더불어 생물이 기후 위기를 막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밀웜과 꿀벌부채명나방은 플라스틱을 먹어 치울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사진=픽사베이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