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환경=김정희 기자]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회용 컵과 일회용 컵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있다.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뿐 아니라 개인이 운영하는 로컬 카페 등도 일회용품을 없애거나 줄이고 다회용 컵을 도입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 코로나 팬데믹 시절 실제로 카페 등에서 일회용 컵이 자취를 감춘 바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카페 등에서 무조건 일회용 컵 사용을 규제하는 것은 큰 불편을 초래할 것이라는 시각이 늘고 있다. 꼭 카페 내에서만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회용 컵을 사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음료를 마시고, 또 쓰레기로 쉽게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선호한다.
그렇다면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볼 때 이러한 제도가 생긴다면 어떨까? 일부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의 경우 일부 매장에서 일회용 컵 없는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직접 다회용컵, 텀블러, 용기 등을 지참하면 음료나 디저트 메뉴를 구매할 수 있다. 혹은 가게 내에서 다회용기 등을 구매할 수 있다.
환경적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불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있다. 가장 흔한 의견은 텀블러를 매번 챙기기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세척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할인’, ‘친환경 실천’ 등의 이유로 자발적으로 텀블러를 사용하는 소비자도 여전히 많다. 일부 로컬 카페는 자체 텀블러를 판매하거나, 텀블러 등을 직접 가져오면 메뉴 가격을 할인해주는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이는 규제가 아닌 ‘습관’이 될 수 있을까. 환경부 등은 일회용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추세가 번지고 있다. 다만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인프라 확보가 함께 진행돼야 지속가능한 소비가 가능하다는 지적도 많다. 그럼에도 ‘텀블러를 가져갈 여유’, ‘컵 반납을 위한 시간’ 등 일상의 작은 불편을 감수할 수 있을 때, 카페의 풍경은 더욱 친환경적으로 바뀔 수 있다.
사진=픽사베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