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함안군 주민 200여명, 비소 노출

안홍준 기자 발행일 2015-10-06 16:49:59 댓글 0
상수도 8곳 지하수 식수 이용 주민들…비소 제거 작업 마친 상수도서도 여전히 누출

경상남도 함안군 상수도 8곳의 지하수를 식수로 이용하던 주민 200여명이 비소에 노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비소 누출 이후 실시된 먹는 물 수질검사 결과와 피해주민 건강조사 결과를 통해, 비소 제거 작업을 마친 상수도에서 여전히 비소가 누출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는 간·근육·신장·비장·피부로 이행되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10~60시간이다. 통상 소변을 통해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70~180mg의 양이 체내에 섭취되면 급성 중독으로 인한 중추신경계 마비와 혼수상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WHO의 음용수 권고기준은 0.01mg/L(1993년)으로 정해져 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 의원이 지난 7월 27일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함안군 일대 먹는물 수질검사결과를 확인한 결과, 여향면, 군북면, 함안면 일부 상수도에서 기준치인 0.01mg을 초과하는 비소가 검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상수도는 비소 누출 사고 이후 함안군 차원에서 비소 제거 장치를 설치한 곳이었다.


수치를 살펴보면 여향면 양촌마을은 0.013mg, 군북면 명지골 마을은 0.023mg, 함안면 굴바대 마을은 0.023mg, 함양군 여향면 청암마을은 기준치의 9배에 달하는 0.089mg의 비소가 누출됐다.


주민들의 건강검진 결과를 살펴보면 비소가 기준치 이상 검출된 성인은 97명, 어린이는 인근 초등학교 전교생 45명이었다.


특히, 이들 중 만3세 연령인 아동의 소변에 농축된 비소량이 참고치 0.2ppm(mg/L)의 2배에 달하는 0.41ppm(mg/L)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소 중 소변으로 배출되는 무기비소의 짧은 반감기(40~60시간)로 볼 때 상수도가 여전히 비소로 오염된 상태임을 추정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앞서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2014년 경남지역 18개 시,군 비소농도 수준을 조사한 결과 경상남도 내에서 비소 수치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지점이 창원시 7개소, 밀양시, 함안군, 창녕군 및 고성군 6개소, 양산시 5개소, 하동군 4개소, 진주시, 통영시, 남해군 2개소, 합천군 1개소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도내에서 비소 누출 사고가 발생하는 동안 상급기관인 경상남도는 도민들의 먹는물 안전 확보를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진선미 의원은 “비소가 누출됐을 때 해당 지자체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한 번 비소에 누출된 주민들이 또다시 비소에 노출된 상황”이라면서 “이제는 경상남도 차원에서 먹는물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