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행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가 광범위하게 노출돼 있음에도 상당 부분이 규명돼 있지 않아 체계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가습기살균제특위(위원장 양승조)가 30일 국회에서 전문가를 초청해 진행한 간담회에서 전문가들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 양상과 관련해 상당 부분이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와 홍수종 서울아산병원 소아 청소년 호흡기알레르기과 교수, 임종한 인하대 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가 참석했다.
우선 백 교수는 인구의 약 22%인 1100만여 명이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됐고, 이중 약 30만 명 정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을 것이란 통계를 들며 “현재까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독성의 양상과 인체에서의 중증 폐질환 발생 등이 밝혀졌지만, 아직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많은 점이 제대로 규명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백 교수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겉으로 드러난 원인은 독성 때문이었지만 좀 더 깊은 원인 내지는 우리사회가 앞으로 나갈 방향 등은 국회에서도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한다”며 “장기적인 안목을 바라보고 찾아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도 “폐 외 손상, 태아 영향 등 새로운 가능성을 다양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히 검증해야 한다”며 “몰랐던 새로운 병인 만큼, 의학적인 입장에서도 아직 더 많이 연구돼야 하고 경험이 축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종한 인하대 의대 교수 역시 “화학물질 관련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게 시급하다”고 의견을 개진했다.
한편 양 위원장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국회 특위를 설치해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피해자배상, 재발방지 등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