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쓰레기장이 아니다”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6-05-31 19:50:23 댓글 0
환경단체, 해수부 ‘준설토 피복’ 사업 ‘반대’

바다의 오염원을 준설토(하천이나 바다 바닥에 퇴적됐다가 제거된 흙)로 덮어 오염된 바다를 복원하겠다는 해양수산부의 당초 계획에 대해 환경단체가 반대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바다의 날’인 31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해수부의 사업에 대해 “바다는 쓰레기장이 아니다”라고 반대 의사를 전했다.


올해부터 폐기물 해양투기를 전면 금지한 해수부는 지난 3일 오염된 바다를 복원하고자 준설토로 해저 오염물질을 덮어 주변과 분리시키는 ‘준설토 피복’ 작업을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수부는 준설토 피복으로 인해 표면 중금속 농도가 줄고 저서생물 건강도 지수(AMBI)가 개선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 바다위원회는 “연구 관점에 따라 저서생물(바다 밑에 사는 생물)군집 평가지수(BPI)가 널뛰기를 하거나 오히려 나빠지기도 하는 등 ‘준설토 피복’에 의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발표된 국제학술지 논문 등에 따르면 저서생물 건강도 지수는 해역에 따라 오염을 판정하는 성능이 달라 기간을 오래잡고 100여개 이상의 정점을 조사해 적합 지수를 선정해야 한다”며 “그런데 해수부가 인용한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바다위원회는 또 “준설토 입자가 가라앉으면서 부유생태계에 미칠 피해 역시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적조생물을 방제하기 위해 뿌리는 황토입자보다도 환경영향이 큰 준설물을 뿌린다면 바다의 1차 생산을 담당하는 부유생태계는 큰 피해를 받게 된다”며 “흙 입자에 스치기만 해도 플랑크톤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바다위원회는 “바다에 폐기물을 버려 가장 재미를 본 건 바로 기업”이라며 “기업은 수십 년 동안 바다 생태계의 죽음을 헐값으로 지불하고 주머니를 불렸다. 그런데 이제 와서 그 뒤처리는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하자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난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