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서울대학교와 함께 위험에 처한 야생동물 위해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 설치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야생동물 구조·치료 및 질병연구 등을 위해 서울대학교와 함께 '서울시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를 설치하기로 합의하고 지난 13일(목) '서울특별시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업무협약식을 맺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서울특별시는 센터건립 및 운영에 대한 재정 및 행정을 지원하며, 서울대학교는 민간보조사업자로서 실질적인 구조센터 설치 및 운영을 맡게 된다.
공개모집을 거쳐 선정된 서울대학교는 서울시와 환경부의 지원으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을 야생동물 구조․치료 등이 적합한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 로 리모델링 할 계획이다.
또한 야생동물 구조차량, 진료 및 포획장비 등을 갖추고, 수의사 등의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2017년 상반기부터 본격 운영 할 계획이다.
야생동물은 자연생태계의 한 축이지만 도시 확장 등으로 인한 서식지 축소와 단절, 포획, 로드킬, 질병 등 여러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는 각종 야생동물의 사고, 질병, 건물 충돌, 둥지 이탈 등 조난과 그 밖의 부상당한 야생동물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조․치료를 할 수 있는 시설이다.
치료 후에는 재활훈련을 실시하고 질병에 감염된 야생동물과 멸종위기종에 대한 치료관리와 질병연구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서울대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연구개발 기능과 야생동물 유전자원은행 등을 활용하여 세계적인 야생동물 보전센터로 발돋음하고, 전문 수의사를 양성, 배출하는 등 야생동물 구조․치료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광빈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서울시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로 인해 서울 도심에서 인간과 동물이 건강하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