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조정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김용건 )는 오는 24일 오후, 센터 대회의실에서 ’16년 제2차‘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 를 개최하여 ‘14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를 확정하였다.
이번 회의결과에 따르면, ‘14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약 590 만톤 감소한 6억 9,060 만톤CO2eq.(이산화탄소 환산기준)으로 나타나 1998년 외환위기를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감소하였다.
‘14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 주요 요인은 2012년 고장으로 발전량이 감소하였던 원전발전량이 회복됨에 따라 화력발전량이 전년대비 6.9% 감소 하였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은 온실가스 감축제도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가 시작된 ‘12년 이후 지속적으로 GDP 증가율 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14년에는 GDP가 3.3% 증가한 반면 배출량은 0.8% 감소하였다.

‘14년 GDP 당 배출량은 전년대비 4.1% 감소한 484 톤CO2eq./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농업분야와 폐기물 분야 배출량이 각각 약 60 만톤CO2eq., 약 50 만톤CO2eq. 감소하였으며 산업공정 분야는 철강제품 생산 증가로 약 260 만톤CO2eq.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는 ‘14년 배출량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 기여도가 높은 석탄화력발전 비중의 감소, 가축 사육두수 및 폐기물 소각량의 감소,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온실가스 배출량은 올해 여름과 같이 폭염이 발생하는 기후요인, 저유가에 따른 에너지소비 영향, 석탄화력 발전량 증가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배출량 감소 추세가 유지될지는 지속적으로 더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매년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
개별 사업장들의 배출량과 배출권거래량을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정보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배출권거래제의 핵심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