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기대수명 90.8세의 정책적 함의와 대응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기대수명은 2015년 기준으로 82.1년이다.
이는 2015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평균 82세까지 살 것으로 기대된다는 뜻이다.
한국인 기대수명은 성별로 여자는 85.2년이었고, 남자는 79년이었다. 남녀 격차는 6년 이이다.
지난 2월 영국 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한 논문에는 2030년 태어나는 한국 여성의 기대수명이 인류 최초로 90세를 넘길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건강수명(2015년 기준)은 기대수명보다 짧은 73.2세로 나타났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는 다치거나 아픈 상태에서 사는 기간을 의미한다. 이 격차는 여성이 9.9년, 남성은 8.2년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줄여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도록 국가적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2017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3.8%로, 고령사회(노인 인구 14%)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는 상태다.
현재 만 65~74세 노인의 절반 이상은 자신이 노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학술지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실린 ‘노년기 주관적 연령과 건강노화와의 관계:연령집단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만 65~74세 노인(연소 노인)의 55.3%는 자신을 노인이 아니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을 구분하는 법적 연령 기준은 만 65세지만, 실질적으로는 노인 시작 연령이 평균 71세인 셈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주관적으로 자신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인지 활동이나 사회 참여가 낮고 만성질환 및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스스로 노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신체적·정신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