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가입자수가 2011년 7월 제도 도입 이후 5년 9개월만에 700만명을 넘어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알뜰폰 가입자 수가 3월말 기준 701만7000명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저렴한 요금제에 기인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장이 포화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활성화 정책과 알뜰폰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노력에 힘입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미래부의 설명이다.
알뜰폰(MVNO :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은 기존 이통 3사의 통신망을 도매로 임차해 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다.

미래부는 그동안 알뜰폰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매제공의무제도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2011년 이후 음성 도매대가는 연평균 16.9%, 데이터 도매대가는 연평균 92.3% 인하해 알뜰폰 사업자들이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알뜰폰 사업자들의 재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13년부터 전파사용료 감면제도를 도해 그동안 약 800여억원을 감면했다.
알뜰폰 사업자들도 최근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하고, 부가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알뜰폰 이용자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CJ헬로비전 등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동통신 3사 대비 30% 이상 저렴한 유심요금제를 출시했고,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요금을 돌려주는 혁신적인 요금제도 출시했다.
이지모바일, 큰사람 등은 신용카드사와 제휴해 매월 통신요금을 할인해주고, 멤버십이나 단말 파손보험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했거나 할 예정이다.
하지만, 가입자 수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고, 알뜰폰 사업자간의 경쟁심화로 아직까지 알뜰폰 사업 전체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알뜰폰 사업자들의 노력으로 가입자 700만명을 돌파했고 통신비 부담 경감에 기여한 바가 크지만 성장속도는 둔화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알뜰폰 사업이 내실있게 성장하면서 이동통신 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을 할 수 있는 사업자가 육성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