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5월 이후 가뭄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총력 대응키로 했다.
25일 농림부는 김재수 장관 주재로 9개도 부지사가 참석한 가뭄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지자체와 농촌진흥청,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공조체제를 구축해 가뭄 총력대응 체제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기상청은 향후 6~8월의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다 올해 1~5월 강수량도 158㎜로 평년 282㎜의 56%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여기에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저수율(5.24일)도 64%로 평년(76%)의 85%로 낮은 상황이다.
농림부는 경기도와 충남지역을 비롯해 전국으로 가뭄이 확산될 것으로 봤다. 농림부는 농업가뭄 위기대응매뉴얼에 따라 가뭄 ‘주의단계’를 발령했다. 아울러 이날부터 가뭄해소시까지 실시간 가뭄상황 관리 및 대책 추진을 위해 ‘가뭄대책상황실’을 설치, 운영한다.
가뭄대책상황실은 식량정책관을 주축으로 금수대책반, 재해대응반, 기술지원반으로 구성한다. 가뭄 상황, 급수대책 추진상황 점검과 가뭄 극복을 위한 긴급 급수대책비 등을 지원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의 협조 체제를 유지하는 등 범부처적으로 가뭄극복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가뭄대책상황실 설치,운영을 통해 지자체, 농촌진흥청, 한국농어촌공사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긴급 영농급수대책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