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용혈성요독증후군’(HUS, 일명 햄버거병) 환자가 지난 6년간 24명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HUS는 제1군 법정 감염병인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합병증이다.
1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1∼2016년 발생한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으로 보고된 환자 443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 중 합병증인 HUS로 진행된 경우는 총 24명(5.4%)이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0∼4세가 14명(58.3%), 5∼9세가 3명(12.5%)으로 70.8%인 것으로 조사됐다. HUS는 적혈구가 비정상적으로 파괴되면서 손상된 적혈구가 신장의 여과 시스템에 찌꺼기처럼 끼어 기능 손상을 초래하며 혈소판 감소증, 미세혈관병증 용혈성 빈혈 등이 나타난다.
HUS는 주로 장출혈성대장균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세균이나 다른 바이러스 감염, 유전성 발병 항암제나 약제 복용, 전신질환, 이식거부 반응 등에 의해서 발병하기도 한다.
여름철 자주 발생하는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병원성 대장균의 일종인 장출혈성대장균에 감염돼 발생한다. 2~10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증상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지만 발열과 설사, 구토, 혈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5∼7일 동안 이어지다 대체로 호전되지만 HUS로 사망하기도 하는 등 경과가 다양하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음식은 익혀 먹고 채소와 과일은 깨끗하게 씻어 먹는 등 위생 수칙을 준수하면 예방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