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충남도와 충남지역의 가뭄피해를 조사하고 항구적 가뭄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 7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 8월 24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가뭄대응 종합대책’의 일환이다.
그간은 중앙정부 중심으로 가뭄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왔지만 지역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지역 여건에 보다 적합한 가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상호협력을 추진하게 됐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충남지역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해 운영할 계획이다.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은 물관리일원화가 될 경우 통합된 부처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 및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지역은 2014년부터 이어진 강우 부족으로 지난 7월 1일 기준으로 보령댐 저수율이 역대 최저인 8.3%까지 하락하는 등 물 부족을 겪었다.
앞으로도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가뭄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지역별 강우 편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돼 지금보다 더욱 적극적인 가뭄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협약에 따라 국토부와 충남도는 충남지역 가뭄피해 조사와 가뭄피해 예방을 위한 항구적 대책 수립을 위해 총사업비 6억원(국토부 4억원, 충남도 2억원)의 연구용역을 연내에 발주할 계획이다.
용역에서는 수자원시설 현황 등 기초자료 조사와 함께 가뭄피해 규모,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기후변화 등을 고려한 물 수지 분석과 용수공급계획 등 가뭄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 가뭄 발생 시 대응 매뉴얼도 함께 작성하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반복되고 심화되는 가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해 가뭄예방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