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 조성된 공원이 식물과 그늘로 인해 폭염시 상업과 주거 지역에 비해 인체가 받는 열스트레스를 2단계 이상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연구원은 제주대 공동 연구진과 함께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 효원공원 일대에서 지난 달 3일부터 40시간 동안 ‘열쾌적성 지표(PET, Physiologically Equivalent Temperature)’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열쾌적성 지표란 독일에서 개발된 지수로 여름철 야외공간에서 인체로 흡수되는 에너지 양과 주변으로 방출되는 에너지 양을 정량적으로 계산, 인간이 느끼는 열스트레스를 단계별로 나타낸다
단계별로 ▲23~29도는 약한 열스트레스 ▲29~35도는 중간 열스트레스 ▲35~41도는 강한 열스트레스 ▲41도 이상은 극한 열스트레스로 구분한다.

연구진 조사기간 동안 수원 기상대에서 측정한 효원공원 일대의 하루 최고기온은 33.7~33.9도로 폭염주의보 상태였다.
지난 달 4일 오후 1시경 효원공원의 열쾌적성 지표는 평균 35도로 ‘중간 열스레스’ 상태였다. 하지만 저층아파트(5층)은 48.6도, 상업지구는 47.8도, 고층아파트(25층)은 45.3도로 나타나 ‘극한 열스트레스’ 상태를 보였다.
또 공원 내부의 열쾌적성 지표 평가결과 그늘은 양지 대비 평균 11.6도가 낮아 2단계 이상 열스트레스가 줄어든 효과를 보였다. 특히, 동일한 시멘트블록 포장재에서 양지는 46.4도, 음지(등나무 파고라)는 31.8도로 열스트레스 차이는 14.9도로 나타났다.
야간(오후 7시~오전 6시)에는 공원에서 냉섬현상이 발생해 주변이 약한 열스트레스 상태(23~29도)로 낮아졌다.
낮은 열스트레스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은 공원(오후 6시 30분), 저층아파트(오후 7시 30분), 고층아파트와 상업지구(오후 8시)로 달랐다.
같은 약한 열스트레스 단계라도 평균 열쾌적성 지표는 공원은 24.3도, 저층아파트 25.3도, 상업지구 26.1도, 고층아파트 26.7도로 차이를 보였다.
또 오래된 나무가 조성된 저층아파트는 공원과 유사한 열환경 양상을 나타냈다. 수목에 비해 건물의 용적이 많은 고층아파트는 상업지구와 유사하거나 새벽에도 복사열이 식지 않아 야간의 열환경 변화가 적었다.
박진원 국립환경과학원장은 “도시공원은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그린인프라로 폭염, 열섬과 같은 열재해를 막을 수 있는 대응 방안 중 하나”라며 “도시지구 단위 계획 등에 열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정 근린공원 비율 산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