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기준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6000명…사망 1292명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8-01-16 14:41:49 댓글 0
환경보건시민센터 “제품사용자 500만명 피해신고 여전의 빙산의 일각 국가가 나서야”

지난해 말까지 신고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 5955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129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15일 이 같은 내용의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현황 분석보고서를 발간했다.


센터는 보고서에서 “2011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자수가 총 5955명”이라며 “이중 사망 신고는 약 22%인 총 1292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특히, 이대로라면 올 1~2월 중으로 피해신고자 6000명, 사망자 1300명을 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센터는 “판정과정이 있기 때문에 신고자가 곧 피해자는 아니지만 신고자는 제품 사용자여서 잠재적인 피해자가 분명하다”며 “조만간 제품사용자를 피해자로 규정하는 내용의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개정에 반영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건강피해 판정기준이 정부의 늑장 대응으로 2011년 사건발생 이후 폐손상일부, 태아피해일부, 천식일부 등 3가지만 만들어졌고, 현재 간질성폐렴, 피부질환, 안구질환, 간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센터가 피해신고 접수창구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국회 김삼화의원실에서 제공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는 사회문제로 떠오르던 2016년 4059명(사망 948명)으로 가장 많이 이뤄졌다.


환경부가 신고를 받기 시작한 2014년에는 4월부터 10월까지 신고를 받았는데도 169명(사망 43명)이 신고했고, 2015년에는 752명(사망 84명)이 신고했다.


지난 해에는 614명(사망 110명)이 신규 피해신고를 했다. 월별로는 1월 69명, 6월 37명, 12월 28명 등 신고가 줄어드는 가운데 8월에만 가장 많은 127명이 신고했다. 이때 문재인 대통령이 피해자를 청와대로 초치해 사과했고, 피해구제법이 시행돼 많은 언론보도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광역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798 명(사망 363)으로 가장 많고, 서울 1326 명(사망 284)로 두번째로 많았다. 두 곳 모두 1000명이 넘었다.


이어 인천 436명(사망 104), 부산 321명(사망 79), 대구 274(사망 45)명 순이었다. 대체로 인구수에 비례에서 피해자가 많았다.


해외 거주 피해신고도 17 명(사망 3)이나 됐다. 국내에서 노출된 후에 해외로 이주한 경우도 있고 해외 현지에서 가습기살균제를 구매해 사용하다 피해를 입은 경우도 있었다.

센터는 “지난해 환경부가 한국환경독성보건학회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 가습기살균제 사용자는 350만~500만 명이고, 이중 10%가량인 30만~50만 명이 제품 사용 후 병원치료를 받은 피해자로 추산된다”며 “지난해 말까지의 피해 신고자 5955명은 전체 피해자의 1~2%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진행규명을 위해 이제라도 국가가 나서서 대대적인 피해자 찾기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