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water는 지난 22일 계속되는 남부지방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K-water 본사에서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전사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작년 1월 이후 전국 다목적댐 유역에 내린 평균 강수량은 예년의 78% 수준. 특히, 용수 전용댐 유역 평균 강수량은 예년의 54% 수준에 불과하다.
이 날 회의에서는 전국 권역별 가뭄 대응현황을 살펴보고, 가뭄 피해가 가장 큰 대구·경북지역의 가뭄극복을 위한 금호강 광역상수도 비상공급시설사업 추진현황 등을 점검했다.
K-water는 현재 모든 댐에서 최소 필요수량만 공급하면서 최대한 용수를 비축하고 있으며, 각 댐별 실정에 맞는 대응계획을 수립해 시행 중이다.
충남서부지역은 지난해 3월부터 보령댐 도수로를 가동해 금강 하천수를 보령댐 상류로 하루 최대 12만㎥를 공급하고 있다.
전남북부지역은 K-water 평림댐 인근의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농업용 저수지인 수양제(장성댐 하류)에서 물을 끌어와 용수를 하루 최대 1만5000㎥ 공급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은 이 지역의 식수원인 운문댐의 저수량 고갈이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응해 인근 금호강의 상류에 비상공급시설을 건설 중이다.
운문댐은 22일 기준 저수율이 9.7%로 예년 대비 46.8% 수준이다.
금호강 비상공급시설은 주민 불편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해 오는 2월 임시 통수 예정으로 대구시 수성구와 동구지역에 하루 최대 12만7000㎥의 물을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K-water는 식수 지원이 필요한 곳에 물차와 병물 등을 직접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광주시, 고령군 등 10개 지자체에 15㎥ 물차 2820대, 총 4만2298㎥를 지원했고, 인제군, 완도군 등 69개 지자체에 병물 169만3000병, 총 909㎥를 지원했다.
이학수 K-water 사장은 “가뭄 대응은 K-water의 가장 중요한 책무 중 하나로 기후변화 등을 고려해 지역별로 신속한 대책을 수립하겠다”며, “선제적 대응을 위해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국민께 피해와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