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독일의 환경전문가들이 모여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독성 및 유해성에 대해 논의하고 최신 연구 동향 등을 공유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9일 서울 마포구 서울가든호텔에서 ‘폐기물 재활용 환경성평가 한․독 공동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 워크숍은 올해 1월부터 ‘폐기물 재활용 환경성평가 제도’에 생태독성 시험과 같은 유해 특성 시험이 본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최신 연구 및 정책을 우리나라와 독일이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은 독일 및 국내 환경전문가, 환경성평가기관, 유해특성시험기관, 산업계 등 10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행사는 국내외 폐기물 재활용 관련 제도 및 연구를 발표하고 종합토론으로 이뤄진다.
우선 김태훈 환경부 사무관과 정다위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이 각각 ‘국내 폐기물 재활용 제도의 체계’와 ‘환경성평가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프란즈저그 시몬(Franz-Georg Simon) 독일 연방연구소 박사 등 전문가 7명은 폐자원 관리를 위한 경제적 법률적 관점을 소개하고 재활용 폐기물의 선별을 위한 정책 등을 발표한다.
독일은 1996년부터 일명 ‘자원순환폐기물법’을 시행해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 관리정책을 우선 순위로 정하고 있는 자원순환 선진국이다.
특히, 오는 2020년까지 생활폐기물 및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목표율을 65%, 70% 수준으로 각각 설정해 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기헌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장은 “이번 공동 워크숍을 통해 폐기물 재활용 관계자들이 환경성평가에 대한 이해도가 더욱 깊어지고, 보다 안전하게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독일 전문가들과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에 대해 공동연구, 인적교류 등 협력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