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부산의 극심한 교통난 해소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수원~서울 구로, 부산 내성~송정 구간에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구축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수도권과 부산권 등 대도시권에 저비용·고효율 미래의 신교통수단인 BRT 구축을 위해 46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BRT는 대도시권에서 건설·운영하는 버스시스템으로 전용주행로, 정류소 등 체계시설을 갖춘 교통체계를 말한다.
올해 말에는 부산~송정BRT 사업이 개통되고, 수원~구로BRT 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 497억원이 투입되는 수원~구로BRT 노선은 장안구청부터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총 26km 구간으로 오는 12월 착공해 2021년 개통을 목표로 시행할 예정이다.
이 구간에 BRT가 완공되면 자가용 통행이 억제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해 통행속도는 버스가 24%, 승용차는 3% 증가하고, 대중교통분담율은 2%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총 사업비 450억원이 투입되는 부산 내성~송정BRT(14.5km)는 전체 노선 중 1단계(내성교차로~올림픽교차로간 7,4km) 구간이 지난해 12월 개통했다. 2단계(올림픽교차로~송정교차로 7.1km) 구간은 오는 한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중 이다.

1단계는 부산 동래 도심을 관통해 교통혼잡이 극심했던 구간에 BRT설치로 인해 버스중앙차로로 노선을 변경했다.
1단계 개통으로 통행속도는 버스가 20%, 승용차는 4% 증가했고, 대중교통분담율은 2% 증가했다.
180억원이 투입되는 부산 내성~서면BRT 노선은 내성교차로까지 총 6km 구간에서 현재 공사중으로 내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추진중이다.
이 노선은 부산 서면 시가지를 관통하는 중요 구간이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통행속도는 버스 20%, 승용차는 3% 증가하고, 대중교통분담율은 6% 늘어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BRT 노선 신설은 기존 도로를 활용해 건설비가 지하철의 10분의 1 수준으로 사업비 부담이 경감될 수 있고, 정시성 확보 및 버스·지하철의 장점을 살려 대중교통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적은 사업비로 교통개선 효과가 높고 친환경적인 BRT노선 구축을 활성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