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둔 가운데 서울시가 ‘2018 여름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종합대책은 여름철 폭염과 집중호우 등 각종 자연재해와 감염병, 식중독 같은 안전 위협요인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5개월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해 종합대책을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특히 올해부터 풍수해 피해 등으로 집을 떠나 임시주거시설에 머물러야 하는 이재민이 발생할 경우 이들이 사생활을 보호받으면서 생활할 수 있도록 실내구호용 텐트 1000동을 신규 제작해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폭염 순찰 활동이 24개 전지역 소방서에서 시행되고 순찰 대상도 노인복지관 등 폭염 취약계층 이용시설로 확대된다.
3개반 총 16명으로 구성된 ‘폭염 상황관리 T·F’를 4개월간 비상체제로 운영하여 폭염에 대비한다. 폭염특보가 발령될 경우 서울시청에 별도로 ‘폭염종합지원 상황실’을 운영해 현장점검, 폭염 피해복구 등 특보 단계별 대응에 들어간다.
아울러 (초)미세먼지가 생활의 불편이 아닌 건강과 생명의 문제라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여름철 종합대책에 처음으로 대기질 대책을 포함시켰다.
서울시는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되기 전인 6월까지 침수취약지역 7개소(신월지역, 한강로, 강서구청 사거리 등)에 대한 하수관거 등 방재시설을 철저히 정비하고 침수에 취약한 저지대·지하주택 6284가구를 대상으로 물막이판, 수중펌프 등 침수방지 시설을 확충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한다.
풍수해로 인해 이재민이 발생했을 경우 공공건물 및 학교 등 965개소에 임시주거시설을 지정하여 68만여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비한다.
이 밖에도 폭우 시 재난단계별 대중교통 특별수송대책을 마련한다. 지하철의 경우 이용자가 몰리는 출·퇴근시간대(평시 7시~9시)와 막차시간을 단계별로 30분에서 1시간까지 연장 및 증회운행하고 배차 간격도 평시 5분~10분에서 2.5분~7분으로 줄여 운행할 방침이다.
시는 종합대책을 통해 위기 상황 발생시 페이스북·트위터 등 SNS와 서울시 안전정보 사이트인 서울안전누리, 서울안전 앱을 통해 실시간 사고 속보와 날씨정보 및 유사시 시민행동요령 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휴가철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해 11개 한강공원의 77개 인명사고 취약시설에 대해 소방서 등 유관기관 합동점검과 수상안전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미세먼지와 여름철 주요 대기오염물질인 오존에 대비한 예·경보제를 실시한다.
그뿐 아니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여름철 급성 감염병의 조기발견을 위해 5월~9월 동안 방역요원이 병원, 학교 등에서 24시간 감시체제에 들어간다.
시는 아울러 배달앱 등록업소, 학교 급식소, 지역아동센터 급식소, 소규모 일반음식점 등에 식품위생 취급기준 준수여부를 점검하여 여름철 식중독 예방하고 식품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김용복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각종 요인에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사람중심, 현장중심의 여름철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며 “시민 모두가 안심하고 건강한 여름을 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