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영광군이 한빛원전 1·2호기의 폐로(閉爐)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들어간다.
영광군은 13일 영광군청에서 한국산업개발연구원과 한빛 1·2호기에 대한 '폐로 대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영광군은 한빛 1·2호기가 폐로 절차를 밟을 것에 대비해 지자체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하기위해 용역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각각 2025년과 2026년에 수명 만료를 앞두고 있는 한빛 1·2호기는 1986년과 1987년 각각 운전을 시작 앞으로 5~6년 정도의 수명만 남겨놓은 상황이다.
영광군은 한빛원전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만큼 이번 용역을 통해 폐로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추가 재원·지원 대책을 발굴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빛원전이 영광 지역 총생산에서 차지하는비중은 65%로, 군 세입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해 고리 1호기에 이어 월성 1호기도 영구 정지를 결정하고 폐로 절차에 들어갔다.
영광군 관계자는 "지역민들이 원전 폐로에 관심이 높다"고 말하며 "아직 폐로가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미리 대비하는 차원에서 용역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