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포럼, 두산중공업 경영악화 보도에 비판

이동규 기자 발행일 2020-01-13 20:34:49 댓글 0
“文정부의 에너지정책 탓 말라”

최근 일부 언론매체에서 두산중공업의 경영악화를 현 정부의 에너지정책 탓으로 기정사실화하는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단법인 에너지전환포럼(이하 포럼)은 13일 이같은 보도 형태에 대해 반박 보도자료를 냈다.

포럼은 자료에서 “두산중공업의 경영실적 악화는 현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전부터 시작됐던 10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며 “최근 5년간 손실 2조 6000억 원, 2013년 이래 당기 순이익 제로를 기록하고 있다”고 시작했다.

포럼은 두산중공업 사업보고서 자료를 인용해 “두산중공업의 발전부문은 세계 에너지 시장 변화의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해 해외석탄발전과 국내 원전에 과도하게 의존한 결과 경영악화를 자초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포럼은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두산중공업 사업보고서(건설 포함)를 분석해보면, 국내 원전관련 수주계약은 2조 1000억 원 가량의 신고리 5, 6호기 주기기 계약을 한 2014년을 제외하면 4.3~10.8%에 불과하고 해외석탄발전관련 수주계약은 최대 83.6%에 달했지만 2018년 무실적을 기록했다.

2018년 세계 에너지원별 투자금액은 재생에너지가 전년 2980억 달러에서 3040억 달러(352조 원)로 늘었고, 석탄발전과 가스 등 화석연료에 전년 1320억 달러에서 1270억 달러(147조 원)로 줄어들었다. 원전 투자액은 170억 달러에서 470억 달러(54조 원)으로 늘었지만 재생에너지 시장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포럼은 “국내외 시장과 정책의 변화를 미리 준비하지 못하고 원전과 석탄발전 산업을 고집한 경영진 오판의 결과가 현재의 경영악화로 귀결된 것”이라고 확언했다.

포럼은 그러면서 “화석연료와 원전이 당분간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관련 산업이 쇠퇴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에너지원에서 풍력,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원으로의 대체는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며 “세계는 물론 아시아의 재생에너지 발전시장 규모는 매우 크다. 높은 기술과 인력자원이 자산인 나라에서 과거의 향수에 젖어 남 탓이나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라고 언론매체를 공격했다.

출처 : 데일리환경(http://www.dailyt.co.kr)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