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금융권과 당국으로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라임 사태'를 바라보는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펀드 운용 과정에서 생길수 있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회사 측의 방만한 운용과 수익률 부풀리기, 투자자 기만 등 '금융사기'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아울러 사태를 막지 못한 금융당국의 책임론도 부각되고 금융권 전반의 신뢰도에 금이 가고 있다.
15일 금융투자업계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5년 12월 금융위원회에 등록해 영업을 시작한 라임은 국내 다른 펀드들보다 높은 수익률을 내세워 수탁고를 늘리며 급속히 성장했다.
라임의 초기 자기자본금은 338억원에 불과했지만 라임은 지난해 7월 말 5조9천억원까지 사모펀드 설정액이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라임이 6천200억원 규모의 펀드 자금을 환매 중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하면서 사태가 커지기 시작했다. 금융감독원이 파악한 라임의 환매중단 규모 추정치가 1조5천587억원 규모로 파악됐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작년 10월 국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유동성 리스크와 관련된 부분에서 라임자산운용이 실수했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고 투자자들 역시 "일단 기다려보자"는 관망세가 컸다.
그러나 최근 회계법인 등을 통해 파악된 피해 규모는 최고 2조원대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라임은 더구나 이 과정에서 '돌려막기'로 수익률을 조작해 여러 펀드를 운용해왔다는 의심도 받는다. 특히 투자 손실이 확정적인 상황에서 판매사나 투자자들에게 사실을 숨기고 펀드를 팔았다는 의혹마저 사고 있다.
또한 불투명한데도 라임의 펀드 운용 방식에도 불구하고 은행과 증권사의 넓은 판매망을 확보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의심이 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라임이 기업사냥꾼들과 결탁해 코스닥기업의 무자본 인수합병(M&A)에 자금을 대고 부당이득을 챙기고 임직원용 펀드를 따로 운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의혹들의 중심에는 최고운영책임자(CIO)로 펀드 운용을 주도한 이모 부사장이 있지만, 그가 도주하면서 사건의 전모가 전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금감원은 라임의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CB 편법거래 등 의혹이 제기되자 작년 8∼10월 첫 검사를 벌였지만, 검사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기식 전 금감원장은 지난 9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라임자산운용 사건은 우리나라 금융 역사의 희대의 사건으로 기억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무역금융펀드가 미국 운용사의 자산 동결로 인해 전액 손실이 났음에도 손실을 숨기고 운용했다는 점 등을 들어 "라임자산운용이 명백히 사기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사태로 인해 펀드를 판매한 은행, 증권사와 금융당국 등으로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라임 펀드를 판매한 16개 은행·증권사는 공동대응단을 꾸려 라임을 상대로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지만, 판매사들의 책임도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이런 사태가 나기까지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금융당국에에 대한 책임론도 불거지고 있다.
금감원은 작년 10월 라임 사태가 터진 이후 사태의 원인이나 대책에 대해 공식적인 발표가 없었다.
'라임 사태' 피해자들은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해 금융당국이 수개월째 팔짱만 끼고 있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