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그룹 창업주 신격호 명예회장이 19일 향년 99세의 나이로 영면했다.
롯데그룹 따르면 신 명예회장은 서울 아산병원에 입원 중 전날 병세가 악화돼 이날 19일 오후 4시 29분께 신동빈 롯데 회장 등 가족들이 임종을 지켜보는 지켜보는 가운데 별세했다.
신 회장의 이번 별세로 이병철 삼성 회장, 정주영 현대 회장, 구인회 LG 회장, 최종현 SK 회장 등 '창업 1세대 경영인' 시대는 완전히 막을 내리게 됐다.
신 회장은 한국과 일본 양국에 걸쳐 식품·유통·관광·석유화학 분야 대기업을 일궈낸 자수성가형 기업가로 평가받고 있다.
1921년 경남 울산에서 5남 5녀의 첫째로 태어난 신 명예회장은 일제강점기인 1941년 홀로 일본으로 건너가 1944년 선반용 기름을 제조 공장 창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기업활동에 발을 디뎠다.
실패를 거듭하던 신 회장은 제과업(껌 생산)에 뛰어들어 1948년 ㈜롯데를 설립하고 이후 초콜릿, 캔디, 비스킷, 아이스크림, 청량음료 부문에도 진출해 연이은 성공을 이뤄냈다. 거뒀다.
신 회장은 일본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고국으로 눈을 돌려 1967년 롯데제과를 설립해 국 최대 식품기업으로 성장시켰고, 연이어 관광과 유통, 화학과 건설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롯데그룹을 국내 5위의 재계 서열에 랭크시켰다.
하지만 탄탄대로였던 그의 경영인생에서 명예회장으로 물러난 이후 말년은 순찬치가 않았따. 2015년 장남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 차남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간의 경영권 갈등으로 롯데는 '오너리스크'를 겪으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또한 2017년에는 두 아들과 함께 경영비리 혐의로 징역 4년 및 벌금 35억원을 선고받는 수난을 받기도 했다.
이후 악화된 건강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치료를 받아오던 신 회장은 19일을 마지막으로 영욕의 인생을 갈무리하고 숨을 거뒀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22일 오전 6시다. 발인 후 22일 오전 7시 서울 롯데월드몰 8층 롯데콘서트홀에서 영결식이 열릴 예정이다.
유족으로는 부인 시게미쓰 하츠코(重光初子) 여사와 장녀 신영자 이사장, 장남 신동주 전 부회장, 차남 신동빈 회장, 사실혼 관계인 서미경 씨와 딸 신유미 씨 등이 있다.
장례는 롯데그룹장으로 치러진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명예장례위원장을, 롯데지주 황각규·송용덕 대표이사가 장례위원장을 맡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