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이 취임한지 3주가 넘도록 집무실로 출근을 못하고 있다. 기업은행 노동조합이 극력히 반대하며 출근 저지 투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노조는 윤 행장이 '청와대 낙하산(경제수석)'임을 이유로 들고 내부승진 인사가 아닌 외부인사로 간주, 배격하는 입장이다.
윤 행장은 꾸준히 노조와의 대화 입장을 견지하면서 대타협을 통해 사태를 타개해 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노조의 태도는 강경하다. 노조는 윤 행장의 취임 거부와 더불어 당정청 차원의 재발방지책까지 요구하는 실정이다.
기업은행은 2010년 이래 10년 동안 내부 승진 절차를 거쳐 행장을 선임해왔다.
윤 행장은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과 경제수석, IMF(국제통화기금) 상임이사 등의 정통 경제관료의 길을 걸어왔다.
노조는 이번 윤 행장의 취임을 2017년 대선 정국에서 문재인 대선 후보가 공약했던 “낙하산 인사 근절”을 파기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 자리에서 “기업은행은 정부가 출자한 국책은행이고 정책 금융기관이다”며 “그냥 내부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비토하는 것은 옳지 못 하다고 생각한다"며 노조측의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이러한 윤 행장의 대화 방침이나 문 대통령의 거듭된 요청에도 불구하고 노조의 강경한 입장은 여전히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시절 당시 허경욱 전 기재부 차관이 행장으로 내정했다가 기업은행 노조의 반대로 낙마한 적이 있다.
여기에 더해 한국노총(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민주노총(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도 기업은행 노조에 지지의 뜻을 밝히며 동참을 선언한 바 있어 자칫 '기업은행 사태'가 금융권을 넘어 노동조합 전체의 문제로 확대될 가능성마저 우려된다.
해결의 기미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기업은행 노조 내부에서는 제3자 중재의 토론회를 통한 자리 등을 통해 윤 행장의 경영 능력을 검증하는 대안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윤 행장, 노조에게 있어 모두 적절한 출구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