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진영)가 28일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 대응을 위한 대책지원본부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앞서 지난 20일 국내 첫 확진환자가 나온 직후 '상황관리반'을 가동해 왔으나 위기경보가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됨에 따라 대책지원본부로 상향 조정해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행안부 차원의 대책지원본부가 구성된 것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가 나왔던 2018년 9월 이후 1년 4개월여만으로, 대책지원본부는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협조 요청사항을 파악하고 방역추진현황 등을 살피게 된다.
행안부는 또한 정부합동지원단을 꾸려 우한에서 귀국하는 교민의 격리 생활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귀국 교민 관리를 전담하기로 했다.
정부합동지원반은 4개 반 75명으로 구성되며, 우한에서 귀국하는 교민의 이송과 2주간 격리생활을 위한 임시생활시설 관리·운영을 책임진다.
행안부는 또한 지자체별 대응 상황과 조치계획을 점검하고 필요 시 역학조사관 등 인력과 특별교부세 지원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상황관리반 단계에서 가동한 시·도 방역대책반도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시켜 지자체 역량을 총동원해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갖추도록 지시했다.
행안부는 우한 폐렴 진행 상황에 따라 대응 수위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행안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국단위로 확산되는 등에 대배해서도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범정부 대책지원본부(범대본)'나 범정부 재난대응 최고 기구로 행안부 장관이 본부장을 맡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가동을 준비하는 등 만반의 태세를 갖춘다는 입장이다.
범대본은 국내에서 처음 메르스 환자가 나왔던 2015년 6월에, 중대본은 신종 인츨루엔자가 확산됐떤 2009년 11월 가동 된 적이 있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정부와 민간이 합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국민들은 너무 불안해하지 말고 개인위생과 감염예방 수칙을 잘 지켜달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