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종코로나 실물·금융경제 악영향 최소화"

이동민 기자 발행일 2020-02-04 11:04:46 댓글 0
"마스크 시장불안, 긴급수급조정 강구"
▲ 김용범 기획재정부 차관이 2월 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관광객 감소, 내수 위축, 수출 감소 등의 경제 악영향을 우려하고 만반의 대비를 갖추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신종코로나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실물경제 영향, 향후 대응 방안 등을 점검했다.

기재부는 현재 신종코로나 영향으로 실물경제나 금융시스템 차원에서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할 만한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김 차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종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를 대비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금융시장과 관련해 "허위사실 유포와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의심되는 계좌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적발된 행위는 수사를 의뢰하겠다"며 "외환시장에 대해 투기적 움직임에 따른 환율의 과도한 한방향 쏠림 현상이 확대된다면 단호하게 시장안정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실물경제 부분에는 "관광객 감소·내수 위축·수출 감소 등 세 경로에 따른 영향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속보 지표를 마련해 일일 점검을 시작했다"며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모든 분야를 망라한 부처별 대응반도 구성해 현장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스크 공급 부족 사태에 대해서는 "1일 800만개 생산으로 수급에는 문제가 없지만 향후 1일 1천만개까지 생산량을 확대하도록 하고 부직포 등 원자재 공급상황도 철저히 점검하겠다"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마스크의) 담합·매점매석 등에 대해선 엄정히 조치하고 시장 불안이 지속한다면 물가안정법에 따른 긴급 수급 조정 조치까지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끝으로 "신종코로나의 향후 전개 상황을 예단하기 어려운 만큼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지나친 비관론에 매몰되기보다는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을 차분하게 뒤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