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종코로나 피해 자영업자·중소기업 긴급 지원

박한별 기자 발행일 2020-02-04 15:28:38 댓글 0
관광·여행업, 음식·숙박업 등 소상공인 대상
"다음 주까지 구체적 지원 방안 발표"
▲ 사진=유튜브 캡처(대구방송)

 

금융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피해를 본 관광·여행업과 음식·숙박업, 중국과 연관된 수출업종 등에 긴급 유동성 자금을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4일 밝힌 바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고 금융지원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원 범위를 어느 수준까지 확대할지를 두고 부처 간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르면 금주 중, 늦어도 내주까지는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발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피해 영향권에 있는 업종과 계층을 특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수 부문에선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는 데 따라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는 관광과 여행업종을 주요 지원 대상으로 분류하고 있다.

신종코로나 피해가 가시권에 있는 주요 업종은 △ 국민의 외부 소비 활동 위축으로 타격을 입는 중소 상공인 △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음식·숙박업 등의 자영업자 △ 중국으로부터 원자재를 수입하는 일부 수출기업들로 정부는 이들을 지원 대상 목록에 올려놓고 있다.

금융 지원 방법으로는 이들 자영업자·중소기업에 금융기관이 대출·보증을 1년간 만기 연장하고 시중은행들도 이에 보조를 맞추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또한 신규 자금 공급과 금리 감면 혜택과 함께, 기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당국은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신·증설을 지원하기 위해 △설비투자 촉진 금융지원 프로그램(4조5천억원 ) △산업구조고도화 지원 프로그램(3조원) △환경·안전투자 지원 프로그램(1조5천억원) △시설투자 특별 온렌딩(1조원·On-lending) 프로그램 등을 가동할 예정이다.

범정부 차원에서도 이달 안에 수출 지원대책과 내수 활성화 대책도 별도로 준비 중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신종코로나 사태가 최근 가까스로 저점을 탈출하는 국내 경기에 치명상을 입히지 않도록 신속하고도 과감한 지원책을 낸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피해 범위가 얼마나 커질지에 따라 지원 규모도 달라진다"면서 "최악의 경우 정부의 예비비(2조원 상당) 일부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하다"고 밝혔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