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디플레이션(저물가 장기지속) 우려를 딛고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1%대로 올라섰다. 다만 이번 통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의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통계청 4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79로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이는 2018년 11월(2.0%) 이후 14개월 만의 최대치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넘어선 것은 2018년 12월(1.3%) 이후 13개월 만이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65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0.4%를 기록했지만 4분기부터는 상승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9월 사상 첫 마이너스(-0.4%)를 기록한 후 10월 보합(0%)을 거쳐 11월에는 0.2%, 12월은 0.7% 올랐다.
물가가 장기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인 디플레이션 우려까지도 제기됐지만 통계청은 올해부터 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월 물가 상승에는 농·축·수산물이 2.5%로 견인했다. 설 연휴에 따라 무(126.6%), 배추(76.9%), 상추(46.2%)의 상승폭이 컸고, 감자(-27.8%), 마늘(-23.8%), 고구마(-21.4%), 귤(-20.3%) 등은 가격이 많이 내렸다.
공업 제품도 2.3% 올랐다. 석유류가 12.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49%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는 2018년 7월(12.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이 밖에 전기·수도·가스가 1.5%, 서비스 물가가 0.8% 상승했고 개인서비스가 1.7% 상승했다. 이중 외식 외 서비스가 2.3%로 비교적 상승치가 높았다. 집세(-0.2%)와 공공서비스(-0.5%)는 반대로하락했다.
보험서비스료(7.5%)와 휴양시설 이용료(22%), 국내 단체여행비(2.8%), 운동경기 관람료(1.4%) 등도 상승을 이끌었다.
공공서비스는 0.5% 내려갔다. 시내버스 요금(4.9%)과 택시 요금(13.7%)은 올랐지만 고등학교 납입금(-36.2%), 휴대전화료(-2.6%)는 하락했다.
'생활물가지수'는 2.1% 상승, 2018년 11월(2.3%) 이후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생활물가지수는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지표다.
'신선식품지수(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 기준 지표)'는 1년 전보다 4.1% 상승했으며, 2018년 12월(6.6%) 이후 가장 크게 증가했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지표)'는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한편 신종 코로나 확산의 영향은 이번달 물가지표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당국은 과거 유사 사례를 봤을 때 신종 코로나 사태가 전체 물가보다는 일부 품목에만 영향을 줄 것으 내다봤다.
통계청 관계자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때는 물가에 두드러진 영향이 관측되지 않았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때는 레포츠·놀이시설 이용료 등 일부 품목에 영향이 있었는데, 한 분기 정도 하락했다가 사태 종료 후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