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에 마트·백화점 줄휴업…오프라인 유통업계 "울고 싶어라"

박한별 기자 발행일 2020-02-07 17:43:00 댓글 0
'유커' 줄어든 면세점도 '썰렁'…주택가 소규모 매장은 매출 늘기도
▲ 롯데백화점 명동 본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줄어들 기미가 안 보이면서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된서리를 맞고 있다.

확진자가 다녀간 사실이 확인된 대형 마트와 아웃렛, 편의점들이 줄줄이 휴업을 선언한 가운데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상징 격인 서울 도심의롯데백화점 명동 본점도 7일 임시 휴점을 결정했다.

롯데백화점은 23번 확진자가 지난 2일 본점을 방문한 사실이 확인되자 휴점을 선언했다. 롯데백화점측은 방역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오프라인 시장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가뜩이나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줄어든 상황에 더해 신종 코로나 사태까지 터져 오프라인 유통업계는 줄곧 울상을 짓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백화점 매출이 집중되는 주말 기간에 본점과 연결된 에비뉴엘, 길 건너 영플라자까지 동시에 휴점을 시작하면서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백화점은 2월 첫 주말 매출은 지난해 설 연휴 직후 첫 주말과 비교해 11% 감소했고 명동 본점은 30%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매출 비중이 큰 면세점은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다.

중국 각 지방정부가 춘제 연휴를 연장하면서 유커(중국 관광객)은 물론이고 중국 보따리상 방문까지 뚝 끊겨 타격이 더 크다.

확진자가 다녀간 것으로 알려진 신라면세점 본점과 제주점, 롯데면세점 제주점은 임시 휴업후 방역을 마치고 재개장했지만 여전히 고객들의 발걸음이 끊긴 상태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평소보다 30∼40% 매출이 줄어든 상황"이라면서 "지금으로서는 달리 대응 방안도 없고 확산이 되지 않도록 방역에 신경 쓰는 수밖에 없다"고 개탄했다.

유통업계는 신종 코로나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휴점하는 업체들이 추가로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확진자 동선이 발표될 때마다 가슴을 졸이며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유통업체는 궁여지책이나마 고객 서비스 개선을 통해 난관을 돌파하고자 시범 서비스까지 동원했다.

확진자 방문 후 휴점 했다 다시 영업을 재개한 이마트 군산점과 부천점은 전화로 주문하면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마트측은 "매출 활성화 차원이 아니라 고객 안전을 고려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고려하다 시험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대형마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객 밀집이 덜하고 체류 시간이 짧은 주택가 인근 소규모 유통매장은 오히려 매출이 증가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마트 에브리데이 같은 슈퍼는 오히려 목표보다 더 많은 매출이 나오고 있다"면서 "체류 시간을 짧게 하고 목적 구매를 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