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계속 줄고 있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10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1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354만7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만9천명(0.8%) 감소했다.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작년 9월 감소로 돌아선 이래 5개월째 연이어 줄어드는 추세다.
정부는 최근 국내 제조업의 고용 부진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제조업과 40대의 고용 부진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고 대책마련에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조업 고용보험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자동차 업종으로 완성차와 부품 부문 모두 최근 구조조정과 생산 감소 등으로 감소한 고용보험 가입자의 수는 7천900명에 달한다.
전자·통신 업종의 고용보험 가입자의 경우 4천600명 감소한 걸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해당 기업이 국내 생산보다 해외 생산을 늘린 여파로 분석했다.
기계장비 업종의 경우 관련 산업 업황 부진 등의 영향을 받아 고용보험 가입자가 6천800명 감소했다.
한편,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 운송장비 업종의 경우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고용보험 가입자가 4천800명 증가했다.
서비스업의 경우 제조업과 다르게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가 작년 동월보다 39만3천명(4.4%) 크게 증가한 929만1천명을 기록했다.
공공행정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1만8천명 늘었다. 정부의 공공 부문 고용 확대 정책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모두 합산한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달 1천368만1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37만2천명(2.8%)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이 30만명대로 떨어진 것은 2018년 8월 이후 처음이다.
노동부는 지난달 설 연휴와 일자리안정자금 등 정책 효과가 안정화 단계에 들어서고 기저 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통상적으로 연말에 고용 계약이 종료되는 사람이 많아 1월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에게 지급되는 구직급여 지급액은 지난달 7천336억원으로 작년 8월 기록한 역대 최대치(7천589억원)과 비슷했다.
노동부는 구직급여 지급액의 증가세를 보인 것은 고용보험 가입 대상 확대와 구직급여 상·하한액인상 등 고용 안전망 정책이 반영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구직급여 수급자는 49만9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3만3천명(7.1%) 증가했고,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7만4천명으로, 3천명(1.8%) 증가했다.
노동부는 고용보험 등 행정 통계를 토대로 노동시장 동향을 분석해 매월 발표하고 있다. 단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 주 15시간 미만 노동자, 공무원 등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