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구직단념자 53만명…3년 연속 증가

박한별 기자 발행일 2020-02-27 10:24:00 댓글 0
추경호 의원·통계청 자료 발표...통계작성 후 최다

 

지난해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한 구직단념자가 53만명을 넘어서며 통계를 개편한 2014년 이후 가장 많았다.

구직단념자는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고 최근 1년 이내 구직활동을 한 경험도 있으나 노동시장 상황 등 비자발적인 이유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말한다.

구직단념자 증가는 취업이 그만큼 어려운 상황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의원실(미래통합당)과 통계청 자료를 분석해 27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구직단념자는 월평균 53만3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52만4천명)보다 8천명 이상(1.6%) 늘어난 수치로, 구직단념자의 기준을 개정한 2014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수치다. 또한 2017년(7.4%)과 2018년(9.0%)에 이어 3년 연속 증가한 수치다.

구직단념자의 미구직 사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 구직을 포기한 사람은 지난해 총 16만9천명으로 역대 최고치였다.

또한 이 수치는 2017(15만7천명), 2018년(16만1천명)에 이어 3년째 증가 추세다.

구직단념자의 미구직 사유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30대 구직단념자 9만명 가운데 3만1천명이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라고 대답했다.

20대는 작년 구직단념자 20만명 가운데 4만명이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어서'라고 답했다.

추 의원은 "정부의 아마추어 경제 정책 때문에 어려운 고용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데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까지 겹치며 국민이 느끼는 체감 경기는 최악의 수준"이라며 "친시장·친기업 기조로 경제정책을 바꿔야만 어려운 고용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