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에 대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반감으로 '일본 불매운동'이 일면서 일본 맥주업계가 한국시장에서의 점유율을 거의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이 27일 발표한 올 1월 품목별 무역통계에 따르면 일본 맥주업계의 한국 맥주 수출량은 4만7천600ℓ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무려 99.0%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1월 감소폭은 물량 기준으로 작년 12월(-97.9%)보다 커진 것으로, 금액으로 집계하면 98.5% 감소한 549만엔이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 핵심 소재를 중심으로 수출규제 조치를 하기 전까지 한국은 일본 맥주업계의 최대 해외 시장이었다.
2018년 일본 맥주 수출액의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약 60%를 점유하며 압도적 1위에 올랐다. 그러나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시작된 지난해 7월을 기해 한국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이 본격화하면서 급감세로 돌아섰다.
일본 맥주의 한국 수출량은 지난해 7월에도 전년 동월 대비 18.6% 증가해 793만591ℓ에 달했으나, 8월 들어 전년 동월 대비 90.7%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어진 9월에는 수출량이 1천10ℓ 수준으로 떨어졌고, 10월에는 일본 재무성의 수출 통계에서 '제로'(0), 11월에는 5만5천60ℓ, 12월에는 10만6천65ℓ의 수출량을 기록해 전월 대비 각각 99.3%와 97.9% 줄었다.
교도통신은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 강화에 대한 한국 소비자들의 불매 운동 여파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한국 소비자들의 일본 제품 기피현상은 일본산 식료품과 자동차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편 지난 19일 발표된 일본 재무성의 올 1월 전체 무역통계에 따르면 일본의 올 1월 한국 수출은 작년 동기와 비교해 12.1% 감소한 3천715억엔(약 4조196억원)을 기록했다.
맥주등 식료품 수출이 38.0% 줄었고, 승용차 수출도 수량과 금액 기준으로 각각 94% 줄었다.
일본 인스턴트라면의 한국 수출액은 64.0% 감소한 187만엔에 머물렀고, 청주 수출액은 83.8% 급감한 2천958만엔에 그쳤다.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 품목으로 지정한 반도체 세정제인 불화수소의 올해 1월 한국 수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86.8% 감소한 8천303만엔으로 집계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