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의 전지구적 확산 우려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긴급 금리 인하 조치를 내린 데 대해 우리나라 금융당국도 잰걸음을 하고 있다.
미 연준은 3일(현지시간) 코로나19 사태로 경제 불확실성의 우려가 커지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이에 따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4일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해 국내외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한 후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이 총재는 회의가 끝난 후 보도자료를 통해 "통화정책만으로 코로나19의 파급 영향을 해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이 과정에서 정부정책과의 조화를 고려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코로나19의 전개 양상과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앞으로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시장안정화 노력을 적극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도 이날 유광열 수석부원장 주재로 금융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조치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유 수석부원장은 "연준의 대폭 금리 인하는 코로나19 사태의 심각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 수석부원장은 "국내은행 등 금융회사의 외화자산 규모는 총자산의 15% 수준으로 금리 인하에 따른 단기적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만 "각국의 통화정책 대응 과정에서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한층 심화할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 저하 등 리스크 요인을 미리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11조7천억원으로 5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한은이 정부정책에 보조를 맞춘다는 기조에 따라 금리를 인하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