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6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은 글로벌 금융불안에 영향을 받았던 국내 외환시장을 안정화하는 데 든든한 안전판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4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및 정책점검회의'에서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국은행이 체결한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과 관련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2배 확대된 수준"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당장 경제 심리가 위축되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이런 상황이 영구히 지속할 것으로 가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공포에 사로잡혀 시장 불안과 단기적 급등락에 동참하기보다는 긴 호흡으로 조금 더 차분하게 시장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상황 변화에 맞게 단호한 시장 안정화 조치와 민생안정에 만전을 다하겠다"며 "속도와 공조에 방점을 두고 정책을 점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 차관은 이날 코로나19 1∼3단계 지원대책 실적도 점검했다. 32조원 규모의 정책 패키지를 담은 이번 지원 대책은 업종·분야별 긴급피해지원 대책, 민생경제 종합대책, 11조7천억원 규모 추가경정예산 등으로 편성됐다.
김 차관은 "추경은 국회를 통과해 본격적인 집행단계에 들어갔으며 어제 발표된 50조원+α 규모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지원과 관련해서는 소상공인·자영업자·중소기업인들에 대해 속도 있게 추진한다는 방침 아래 "지원 전달체계를 개선해 꼭 필요한 분들께 필요한 시점에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자금 병목현상을 막기 위한 '체크리스트' 방식의 약식 심사 대출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추경 예산과 관련해서는 "2개월 내 75% 이상 집행한다는 최고 수준의 집행목표를 설정했다"며 "현장에서 지원을 체감하는 목소리가 많은 만큼 신속한 집행으로 서류와 현장의 간극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