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위기에 몰린 금융시장에 총 100조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청와대에서 제2차 비상경제회의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긴급구호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2차 지원 규모는 정부가 지난주에 1차 회의를 통해 발표했던 50조원의 2배 규모다. 정부의 애초 지원안은 음식·숙박·도소매·서비스업과 항공, 관광 등 관련 업종에 국한했다.
그러 이번 2차 비상대책회의에서는 지원의 범위와 규모를 제조업 등의 주력 산업으로 확대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주 1차 회의에서 결정한 50조원 규모의 비상금융조치를 대폭 확대해 100조원 규모의 기업구호긴급자금 투입을 결정한다"고 밝혔다.
우선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29조1000억원 규모의 경영자금을 추가로 지원하고, 보증 공급과 정책금융기관의 대출도 각각 7조9000억원과 21조2000억원을 추가했다.
또한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기업에 대해서도 기존 6조7천억원 규모에서 11조1천억원을 더해 17.8조원 규모의 자금을 별도로 공급한다.
문 대통령은 "우리 기업을 지켜내기 위한 특단의 선제 조치임과 동시에 기업을 살려 국민들의 일자리를 지키는 일"이라며 "정상적이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채권시장안정펀드도 기존 10조원보다 2배 늘려 총 20조원으로 확대 편성하고, 회사채와 기업어음 매입을 통해 단기자금 수요도 뒷받침하기로 했다.
아울러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기존 6.7조에서 17.8조로 증액하고 증권시장 안정펀드도 10조7000억원 규모로 운영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기업들과 국민들께 힘이 될 수 있도록 오늘 회의에서 신속히 매듭을 짓고 4월부터 바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