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에 대한 '1천만원 직접대출'에 신청자가 몰리면서 대출 재원이 조기에 고갈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3일 밝힌 바에 따르면 직접대출 시행을 지난달 25일 시작한 이래 4월 1기준 1만381건의 대출신청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공의 직접대출은 신용등급 4~10등급인 저신용 소상공인에게도 보증 없이 연 1.5% 이율로 1천만원까지 대출해주는 제도다.
정부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해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을 총 12조원으로 늘려 소진공에 2조7천억원, 기업은행에 5조8천억원, 다른 시중은행에 3조5천억원 각각 나눠 지원하고 있다.
소진공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까지의 1일 직접대출 건수는 3천352건이다. 전국 62개 지역센터가 하루 평균 50건의 접수를 한 셈이다.
소진공은 앞으로 일일 접수건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예산 2조7천억원이 모두 '1천만원 직접대출'에 투입된다고 하더라도 오는 6월 말 경 재원이 고갈될 것으로 추정했다.
소진공 예산 2조7천억원은 직접대출 외에도 소진공이 기존에 하던 보증부 대출(최대 3천만원)에도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에 빠르면 5월 중에 예산이 조기 고갈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현재까지 파악한 전국의 소상공인 수는 630만명으로, 이중 직접대출의 대상에 해당되는 신용등급 4~10등급 비율은 30%인 189만명이다.
직접대출을 받을 수 없는 기존 대출의 연체자, 세금 체납자를 제외하더라도 그 수는 180만명 안팎으로 추산된다.
소진공은 현재 소상공인의 신청이 폭주할 것을 대비, 시행 6일 만에 소상공인의 출생연도에 따라 대출신청을 받는 '홀짝제'로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출 신청이 폭주해 현재 전국 62개 소진공 지역센터의 직원 600여명이 투입해 대출건수를 4배 이상 끌어올렸지만 밀려드는 신청을 소화하기엔 여전히 역부족인 상황이다.
소진공 지역센터의 한 직원은 " 하루에 화장실 한 번 가지 못한다"면서 "하지만 돌아오는 건 민원인의 항의뿐"이라며 업무 폭주를 하소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