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코로나19 사태로 '집콕' 생활자들이 늘면서 25% 가까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이 아닌 집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추세로 농·축·수산물등에 대한 온라인쇼핑 거래가 급증한 반면, 문화·레저·스포츠 등 외부활동 관련 거래는 뚝 떨어졌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1조9천618억원으로 1년 전보다 24.5%로 증가한 2조3천545억원로 집계됐다. 이 비중은 2018년 10월(30.7%) 이후 16개월 만에 가장 크게 증가한 수치다.
전체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도 27.7%의 비중을 차지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 비중은 작년 12월(22.1%)과 올해 1월(22.9%) 대비 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상품별 구분으로는 신선식품, 간편조리식, 배달음식 등의 거래 증가로 농·축·수산물(103.7%), 음식서비스(82.2%), 음·식료품은(71.0%) 순으로 증가했다.
세정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 온라인 거래도 52.8% 증가했고, 가전제품과 신형 휴대전화 등도 38.6% 늘었따. 렌탈, 방역서비스 등 '기타서비스' 상품군 거래도 161.0% 크게 증가했다.
영화관람이나 여행 등 대중교통 이용 건수가 줄어 문화 및 레저 서비스(-60.0%)와 여행 및 교통서비스(-46.2%)는 거래액이 크게 감소했다. 이어 ▲의복(-2.3%) ▲가방(-1.7%) ▲패션용품·액세서리(-1.3%) 순으로 거래액이 줄었다.
통계청 분석에 의하면 의복은 날씨와 외출 자제의 영향이고, 가방·패션용품 등은 외국인관광객 입국이 크게 줄어 온라인 면세점 거래가 급감한 탓이다.
운영형태별 구분으로는 2월 온라인몰의 거래액은 8조5천14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9% 증가했지만,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매장의 거래액은 3조4천479억원으로 4.7% 증가하는데 그쳤다.
특히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8조1천436억원 지난해보다 31.1% 늘었다.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 대비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8.1%로 1년 전보다 3.5%포인트 상승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 상승은 음식·e쿠폰서비스가 각각 94.3%과 89.4%로 주도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집에서 주로 하는 것들은 온라인쇼핑 거래가 많이 늘었고, 밖에 나가 돌아다니면서 하는 것들은 다 줄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