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꼼수 인상에 여당·지자체 '공공앱'으로 대응

김동식 기자 발행일 2020-04-06 16:59:57 댓글 0
배달의민족 울트라콜→오픈서비스로 변경
소상공인 반발 "사실상 수수료 인상"

 

국내 배달앱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배달의민족이 수수료 체계를 변경하기로 결정하자 소상공인들이 '꼼수 가격 인상'이라며 반발하며 논란이 확장되자 지방자치단체와 여당이 대안 모색에 나섰다.  

관련 업계가 6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은 지난 1일 기존 수수료 부과 방식인 '울트라콜'을 오픈서비스 형태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배달의민족은 오픈서비스를 통해 전체 입점 업주 가운데 52.8%가 수수료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울트라콜'은 광고 1건당 월 8만8000원의 정액제 방식이고, 오픈서비스는 배달의민족에서 성사된 주문 1건당 5.8%의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입점 업체 소상공인들은 매출이 높을수록 수수료 부담이 증가해 '사실상 수수료 인상'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소상공인의 분석에 따르면 기존 울트라콜의 경우 수수료를 월 26만~35만원을 부담했지만 오픈서비스로 변경할 경우 월 매출 1000만원인 업소는 월 58만원을 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란이 확산되자 지자체와 여당에서 별도의 배달앱 개발이나 관련 법안 개정에 나서는 등 대안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4일 SNS를 통해 "힘 좀 가졌다고 힘없는 다수에게 피해를 입히며 부당한 이익을 얻으면 되겠느냐"며 배달의민족을 비판했다.

이 지사는 이어 6일 기도시장상권진흥원, 경기도주식회사, 경기도콘텐츠진흥원 등 공공기관, 관련 부서 등과 함께 긴급회의를 열고 공공앱 개에 나서기로 했다.

경기도는 아울러 배달기사의 조직화와 보험 등 안전망 지원, 배달 영역의 공공등에 관련해서도 검토에 들어갔다.

전북 군산시는 이미 '배달의 명수'라는 공공앱을 만들어 사회적기업을 통해 운영 중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가세했다. 김진표 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비상경제대책본부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책본부회의에서 "외식업계에서는 배달의 민족이 자기 배만 불리는 민족이 되면 안 된다는 비판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광온 의원(경기 수원정)은 수원시와 협의해 '더불어앱'을 출시하겠다는 공약을 밝혔고, 우원식 의원은 중소유통상인 보호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을 시사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