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이 울산화력본부에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된 1㎿급 수소연료전지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국산 수소연료전지 실증사업'에 본격 돌입했다.
동서발전은 7일 울산지역 석유화학단지 내의 수소배관의 울산화력까지 연장하고, 발전소 내에 수소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에는 현대자동차도 함께했다. 이번 국산 수소연료전지 실증사업은 현대차에서 국내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한 연료전지 모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동서발전은 1㎿급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실증을 통해 국산화율을 99% 수준으로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는 원천기술이 미국 등 해외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국산화율이 50%대에 머물고 부품 교체와 유지비용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서발전은 이를 국산화 시켜 국부 유출 방지와 수소에너지 수요 증대로 수소연료전지를 대량 생산하고, 발전용 연료전지 가격과 수소차 가격 하락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울산화력에 설치될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은 외산 연료전지 시스템보다 부하 변동 능력이 뛰어나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동서발전은 그동안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수소산업 추진에 전념해 왔다. 아울러 2030년까지 연료전지 설비 용량을 확충해 1000㎿(1GW)까지 규모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동서발전은 올 하반기 내 울산화력에 1㎿급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설치하고 송전망에 연계해 테스트가 완료되면 2022년까지 국산화 실증을 완료할 계획이다.
동서발전 관계자는 "수소연료전지 부품 국산화를 통한 수소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