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9일 통화정책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0.75%로 동결했다고 발표했다.
금통위의 이번 결정은 금융시장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지난달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하고 긴급 유동성 대책도 내놓은 만큼 당분간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금통위는 지난달 16일 임시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75%로 0.50%포인트 전격 인하한 데 이어, 이어 26일에는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방식을 통해 무제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현재 금융시장은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시장을 중심으로 여전히 불안심리가 작용하는 상황이다.
금융업계 전문가들은 정부와 한은이 마련한 긴급 유동성 대책을 내놨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고 국내 실물경제가 위축되면서 금융시장을 진정시키기에는 여전히 역부족라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한은의 이러한 신중한 태도를 아쉬워 하면서도 향후 유동성 공급과 관련한 추가 조치를 내놓을 지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일 "금융 상황이 악화할 경우에는 회사채 시장 안정을 위해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해 대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이 시행될 경우 앞서 시행한 무제한 유동성 공급 대책을 보완해 증권사 등의 자금난을 덜어주겠다는 의도인 것이다.
일각에서는 한은의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 허용이 '검토'가 아닌 '시행'으로 이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