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에 전폭적으로 예산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은 9일 정부서울청사·세종청사 간에 영상회의로 진행한 '소재·부품·장비 R&D 추진상황 점검 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날 영상회의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벤처부 등 담당 부처가 참석해 지난해 정부가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위해 내놓은 소부장 분야 R&D 투자의 진행 상황과 추진 과정을 점검하고, 부처 간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구 차관은 이 자리에서 소부장 R&D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통한 공급 안전망 확보, 부처·사업 간 협업 체계를 강조했다.
구 차관은 "흔들리지 않는 산업 강국을 위해서는 작년 일본 수출규제 등과 같은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작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한 20대 품목의 R&D를 신속히 완료하고, 실제 사업화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데 관계부처의 역량을 집중해달라"고 당부했다.
기재부는 이에 따라 중장기 관점의 전략이 요구되는 80대 품목에 대한 기술개발 로드맵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정부 R&D 예산은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한 소부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관계 부처의 구체적인 협업 투자계획도 논의하고 정부는와 '함께 달리기 R&D'를 추진하기로 했다.
'부처 간 이어달리기 R&D'는 원천 기술을 확보한 경우 상용화 R&D로 연결을 강화하는 방안이고, '함께 달리기 R&D'는 기술이 부족한 경우 부처 간 최종 목표 공유를 통해 기초와 응용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안이다.
정부는 또한 예산 편성 과정에서 부처 간 역할을 조정해 성능·시험 평가를 위한 장비구축 사업도 중복 투자에 따른 비효율을 최소화 하기로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