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대 분야 혁신 프로젝트를 통한 융복합 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재정투자와 제도 개선을 함께 추진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가 밝힌 3대 분야 혁신 프로젝트는 ▲데이터·5G·AI(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 비대면 산업 집중 육성 ▲SOC(사회간접자본)의 디지털화 등이다.
김 차관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는 디지털 기반 프로젝트에 집중해 민간투자와 시너지가 크고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과제로 전산업·전분야의 기초가 되는 혁신 인프라로서, 임팩트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선택과 집중이라는 4대 원칙하에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아울 "유가 하락, 생산 차질, 수요 위축 영향으로 4월 수출이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했으며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1분기 충격이 컸던 내수는 4월 들어 점차 완화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일축하며 "4월 소비자물가는 0.1% 상승하며 상승세가 둔화했다"며 "이는 유가하락과 무상교육 시행 등 효과가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앞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사회구조 변화를 기회로 살리기 위해서는 선제 대응이 긴요하다며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범정부적 '포스트 코로나'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홍 부총리는 "사각지대 근로자·노동자에 대한 보다 촘촘한 고용안전망 보호를 위해 지난 5차 비상경제회의 때 한시적으로 1조5천억원 규모의 긴급고용안정 지원제도를 신설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태스크포스(TF) 및 6개 작업반을 구성해 대응방안에 나서고, 중기 과제를 중심으로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