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3월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했지만 4월에는 수출 부진의 여파로 무역수지가 타격을 받으면서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3월 경상수지는 62억3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작년 3월(50억4천만달러) 대비 11억9천만달러 증가한 흑자폭이다.
상품수지 흑자는 지난해보다 줄었다. 상품수지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이 감소해 70억달러를 기록해 1년전보다 13억4천만달러 줄었다.
하지만 서비스수지 적자가 줄고 본원소득수지가 흑자로 전환한 덕에 전체 수지에서 흑자폭을 유지할 수 있었다.
수출은 464억2천만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감소했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대(對) 중국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하는 등 해외생산과 가공무역수출이 감소한 탓이다. 또한 반도체·석유제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단가가 떨어진 것도 요인이다.
미국(16.8%), 유럽연합(9.5%) 등 다른 주요국으로의 수출은 늘었다. 중국을 제외하면 3월까진 코로나19에 따른 수출 타격에 영향이 미치지 덜 미친 것이다.
수입(394억2천만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감소했다. 반도체 제조장비 등 자본재 수입이 증가했지만 원유 등 원재자와 소비재 수입이 감소했따.
서비스수지는 14억6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적자 폭은 지난해보다 6억4천만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수지 적자는 3억7천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작년 월평균 여행수지 적자가 8억9천만달러인 점을 견주어 보면 비교적 적은 적자폭이다.
임금·배당·이자의 움직임인 본원소득수지는 흑자로 돌아섰다. 전년 동기 6억1천만달러 적자였던 것에 대비, 올해 3월에는 9억3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기업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환율이 올라 배당금을 지급할 유인이 줄어든 결과다.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도 5억5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적자폭은 작년보다 4억1천만달러 줄었다. 작년 3월엔 거액의 특허권 사용료 이슈로 일시적으로 적자 폭(9억5천만달러 적자)이 컸다.
1분기 경상수지 흑자는 136억1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억2천만달러 늘어 2012년 2분기(109억4천만달러) 이후 32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4월에는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집계된 4월 무역수지가 9억5천만달러 적자로 99개월 만에 흑자 행진을 멈춘 상황이다.
경상수지는 작년 4월(3억9천만달러 적자) 일시 적자를 보였지만 올해 1월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10억달러 흑자에 머문 것을 제외하면 40억∼70억달러대의 흑자 기조를 유지해왔다.
상품수지도 2012년 4월(3억3천만달러 적자)를 보인 이후 7년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해왔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통상 4월 외국인 배당 지급이 늘어나는 데다 상품수지 흑자가 줄거나 심지어 적자로 전환할 수 있어 4월 경상수지가 적자를 나타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전망했다.
박 국장은 5월 이후 전망에 대해서는 "소비재나 자본재 수입 부진이 완화할 가능성이 큰 반면 코로나19 확산세 진정이 뚜렷하지 않아 수출은 부담이 되는 상황"이라며 "이는 5월 경상수지가 악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