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코로나19 영향으로 적체가 심해진 페트 재생원료에 대해 1만 톤 공공 비축을 실시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7일 경기 화성의 플라스틱 페트병 재활용업체인 새롬이엔지(대표 유영기)를 방문해 공공 비축 진행 상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정부의 플라스틱 페트병 재생원료 공공 비축이 재활용 업계의 숨통을 트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이렇게 밝혔다.
조 장관이 새롬이엔지를 방문한 이날은 공공 비축이 이뤄지는 첫날로, 선매입한 플라스틱 재생원료는 한국환경공단 유통센터 유휴부지와 민간 임대지에 비축된다.
새롬이엔지는 플라스틱 재생원료 3천톤 중 절반가량인 1천400t을 공공 비축할 계획이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코로나19 확산 이후 경기침체로 재활용 플라스틱 수요가 줄며 적체가 심해지자 플라스틱 페트병 재생원료 공공 비축에 나서기로 했다. 재활용품 수거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환경부는 12월까지 재활용 페트병으로 만든 재생원료 1만톤을 시중 단가의 50% 가격으로 선매입해 재활용 업계의 자금 유통을 지원한다.
조 장관은 "공공 비축을 포함해 가격 연동제, 폐플라스틱 수입 제한 조치, 재생 플라스틱 수요처 발굴 등과 관련한 조처를 하고 있다"며 "유럽, 미국, 중국 등에 재활용 플라스틱 수출이 가능한지도 적극적으로 알아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영기 대표는 "공공 비축이 업계에 많이 도움이 된다"면서도 "재활용업계에서 정책 자금을 원활히 쓸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오는 13일까지 재활용 시장에 대한 특별점검을 통해 재활용 시장 체질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환경부는 또한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재활용시장 코로나 대응 콜센터(전화:044-201-7390)도 신설해 운영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