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국내 화학 업계에서 최초로 탄소중립 성장을 내용으로 한 지속가능성 전략을 발표했다.
LG화학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50 탄소중립 성장'(Carbon Neutral Growth)을 선언하고 2050년 탄소 배출량을 2019년 배출량 수준인 1000만톤으로 줄인다고 6일 발표했다.
'탄소중립 성장'이란 사업 성장에 따른 탄소 배출량 증가와 동등한 수준의 감축 활동을 펼쳐 탄소 배출 순 증가량을 제로(zero, 0)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번 선언에 따라 LG화학은 '환경과 사회를 위한 혁신적이며 차별화된 지속 가능한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기후변화 대응 ▲재생에너지 전환 ▲자원 선순환 활동 ▲생태계 보호 ▲책임 있는 공급망 개발·관리 등 5대 핵심과제를 선정하고 추진할 방침이다.
LG화학은 2050년 LG화학의 탄소 배출량은 약 4000만톤 규모로 전망돼 탄소중립 성장을 위해 3000만톤 이상을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화학은 감축 목표인 3000만톤은 내연기관 자동차 1250만대가 1년 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으로 소나무 2억2000만그루를 심어야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의 규모라고 설명했다.
LG화학 전 세계 모든 사업장에 100% 재생에너지만으로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RE100(Renewable Energy 100)를 추진하고 2050년 탄소 배출 전망치의 60% 이상을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이와 함께 생산 제품은 물론 사업장 배출 폐기물까지 재활용하는 순환경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환경 오염 및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개발에도 나선다. LG화학은 2024년까지 생분해성 고분자인 PBAT와 옥수수 성분의 PLA를 상업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폐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도 적극 추진한다. 배터리를 수거해 잔존 수명을 예측하는 기술의 연구개발과 함께 재사용 배터리로 만든 전기차 충전소용 에너지 저장 장치(ESS) 시범 시설도 설립을 앞두고 있다.
LG화학은 아울러 신규 사업장의 경우 환경안전 국제 공인 기관인 UL 주관의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의무화하도록 해 매립 폐기물 제로화를 실현할 방침이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2050년은 LG화학이 창립 100년을 넘어 다음 세기로 나아가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혁신적이며 차별화된 지속가능 솔루션을 제공하고 고객은 물론 환경, 사회의 페인 포인트까지 해결해 영속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만들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