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의 중서부를 가로질러 강원도 평강군에서 철원군을 거쳐 연천군 임진강으로 흐르는 한탄강 일대가 국내에서 네 번째로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한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됐다.
경기도가 8일 밝힌 바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중인 '유네스코 제209차 집행이사회'에서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최종 승인했다.
인증 대상 지역은 경기도 포천시 유역 493.24㎢, 연천군 유역 273.65㎢, 강원도 철원군 유역 398.72㎢ 총 1천165.61㎢에 이르는 한탄강 일대로, 여의도 면적(2.9㎢)의 약 400배에 달한다.
한탄강 일대에서 화적연, 비둘기낭 폭포, 아우라지베개용암, 재인폭포, 직탕폭포, 고석정, 철원 용암대지 등 총 26곳이 등재됐다.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과 함께 유네스코의 3대 보호제도 중 하나로 미적, 고고학적, 역사·문화적, 생태학적,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곳을 보전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지정한다.
DMZ 일원의 청정 생태계와 함께 50만~10만 년 전 북한 오리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굳어 만들어진 주상절리와 베개용암 등 내륙에서 보기 어려운 화산 지형이 잘 보존돼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보기 드문 장관을 자랑한다.
한탄강의 이번 세계지질공원 등재는 이같은 지질학적 자연 환경 뿐만 아니라 전곡리 선사유적지부터 고구려 당포성, 평화전망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문화적 명소가 많이 소재해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기도는 강원도와 2016년 3월 상생협력을 체결, 한탄·임진강 국가지질공원과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을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공동으로 추진해왔다.
또한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한 공동 학술연구용역은 물론, 세계지질공원 평가위원 초청 설명, 국내전문가 현장점검, 유네스코 예비 및 현장 평가 등 한탄강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이재명 지사와 최문순 지사 명의의 서한을 유네스코 본부에 전달했으며, 2018년 11월 30일 세계지질공원인증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 지난해 9월 후보지로 선정된데 이어 이번 인증회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정됐다.
세계지질공원은 4년 주기로 재인증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경기도는 지질학적 가치 입증을 위한 학술연구용역, 지질명소 정비사업 등을 지속 추진하고, 국내외 탐방객들을 위한 다양한 지질교육·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해 경기북부 지역발전 및 관광산업 활성화의 단초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재명 지사는 "앞으로도 한탄강이 국내를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명소가 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전과 발전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힘써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