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경기 회복 어렵다"...한경연, 경제성장률 -2.3% 전망

김동식 기자 발행일 2020-07-13 10:28:03 댓글 0
한경연 '2/4분기 경제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분석

 코로나19 여파로 세계 주요국의 경제성장률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인 -2.3%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2일 밝힌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0년 2/4분기'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국내 경기가 올해 안에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3%로, 상반기에 -1.7%를 기록한데 이어, 하반기에는 더 낮은 -2.9%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중국 등의 세계 주요국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경기회복이 지연된 영향을 우리나라도 받게 된 것을 요인으로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한 우리 경제가 경기 회복 단계로 진입할 수 있을지는 코로나19 사태의 종결 시점과 주요 국가의 경기 반등 시기와 속도, 정부 대응의 실효성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또한 긴급재난지원금 등을 비롯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명목 임금 상승률이 하락하고 코로나19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며 발생한 하방 압력을 이겨내기 힘들면서 민간소비 성장률도 3.7%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두 자릿수의 역성장을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내수 침체와 주요 수출대상국의 경기 위축으로 -18.7%를, 건설 투자는 공사 차질과 부동산 억제 정책으로 -13.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질 수출도 전세계적인 경기 위축과 무역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점쳐짐에 따라 -2.2%의 역성장을 기록하고, 코로나19 감염자 재확산과 기업 실적 악화로 대량 실업이 발생할 가능성도 우려했다.

대외적으로는 주요 국가의 실적 부진과 경기회복 지연, 반도체 단가 상승폭 제한, 글로벌 공급망(GVC) 약화 등이 성장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소비자 물가는 서비스 업황 부진, 가계부채, 고령화 등의 구조적 원인으로 작년보다 0.1%p 낮은 0.3%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

경상수지는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상품 수지 흑자폭이 크게 줄어들면서 서비스 수지의 적자 기조가 지속되면서 지난해보다 90억 달러 줄어든 510억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한경연은 단기적 경기 반등 효과에 집착해 국가 재정을 소진하기보다 장기 침체기로 들어설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조언도 덧붙였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