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산업부문의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지원을 위해 11월 20일 우리나라 대표 공업도시인 포항과 울산에서 제조업 현장 소통을 갖는다고 밝혔다.
현장 소통 첫 일정으로, 안세창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후에너지정책실장은 세계적인 철강기업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위치한 포항 국가산업단지를 방문한다.
철강산업은 2024년 기준 국내 전체 온실가스 순배출량(약 6억 5,140만톤)의 15%(산업부문 4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다배출 업종으로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여부를 좌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반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대제철은 전통 고로가 아닌 전기로 중심으로 철강제품을 생산해 온실가스 감축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안세창 기후에너지정책실장은 국내 친환경 철강 생산체계 구축 방안을 업계와 함께 논의한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탄소중립 추진 현황을 듣고, 이를 위한 정부의 저탄소 철강제품 수요 창출 지원 등 건의사항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어서, 안 실장은 울산의 수소경제 선도기업 어프로티움의 수소 생산과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을 확인한다. 어프로티움은 울산 지역에 약 70km에 달하는 수소 배관망으로 인근의 정유·석유화학 단지에 수소를 공급하여 이들 공정에서의 연료전환을 돕고 있다.
또한, 수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액화하여 반도체 공장에 공급하는 등 ‘탄소 포집·액화(CCU, Carbon Capture & Utilization)’ 사업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안 실장은 어프로티움과 함께 ‘탄소 포집·액화’ 기반 탈탄소 산업생태계 조성 및 국내 다배출 산업의 탄소감축 가속화를 위한 수소공급 안정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이후 제이씨케미칼이 지난달 준공한 울산신항의 바이오원료 전처리(PTU:폐식용유 외 팜부산물·음폐유 등 저급 바이오원료를 고품질 지속가능항공유(SAF) 원료로 정화하는 공정) 공정도 확인한다.
해당 공정은 정유산업이 바이오원료를 바이오항공유 원료로 활용하여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준비 단계다. 제이씨케미칼은 국내외 바이오원료 공급망을 구축해 안정적인 원료조달과 고품질 처리는 물론, 이를 기반으로 바이오디젤 등 친환경 석유대체연료를 직접 생산하는 기업이다. 안 실장은 정유산업 탈탄소화를 위한 바이오원료 확보·연료화 등 전주기 공급망 강화 측면에서 제이씨케미칼의 적극적인 기여를 요청할 계획이다.
안세창 실장은 “다배출 산업의 경쟁력 유지와 탄소감축 병행이 가능한 구조를 위해 정부가 업계의 공정전환에 적극 협력할 것”이며, “수소환원제철, 바이오연료, 탄소 포집·액화 등 핵심 저탄소기술이 산업현장에서 하루빨리 안착할 수 있도록 업계의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0)